
안녕하세요! 수목진단 전문기업 세이브트리입니다.
오늘은 수목진단이 아니지만 아주 중요한 진단의뢰를 맡게되어 소개드리게 되었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현장은 인천 영종도의 건설현장 조경 식재지 입니다!

바다가 인접해 있는 만큼 염해 예방에 각별히 신경써야 하기 때문에 수목 식재 전 하자 방지를 위해 토양의 염류(EC) 및 pH, 경도를 측정했습니다.

식재일정이 촉박한 관계로 조경공사 현장소장님과 감리 담당자 분이 동행하신 상태로 진단내용을 공유드렸습니다.
산중식 경도계로 측정한 결과 경도는 15~20mm 사이로 국토교통부 인증 '조경설계기준'상 상급에 해당하는 토양이었습니다.
 |
국토교통부 승인 조경설계기준 |
토양 pH는 6.8~7.0 사이로 측정되었으며 조경설계기준 상 '중급'에 해당하는 수치입니다.

 |
EC 교정중 |
토양 EC는 현장에서 간이 측정 시, 오차의 발생여지가 있어 샘플을 채집한 후 1:5 비율의 희석액을 만들어 EC미터를 통해 측정하였습니다.
 |
측정 센서 세척 |
오차를 줄이기 위해 세척을 거친 후 샘플용액의 EC를 측정하였습니다.
 |  |
EC미터를 통해 측정한 결과 |
식재지 샘플을 채집한 두 곳의 결과값은 각각 0.65 dS/m, 0.3dS/m 이었으며 각각 중급에 해당하는 수치를 나타내었습니다.
수목의 생육에 방해가 될 정도의 수치는 아니지만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국토교통부 승인 조경설계기준 |
식재용 토양을 별도로 성토한 뒤 식재하지만 모세관 현상으로 하층 토양의 수분이 상승하는 것과 배수성을 고려하면 식재기반 염류와 견밀도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더욱이 바닷가에 인접한 현장일수록 사전에 면밀히 점검하여 내염성이 강한 수목을 식재하거나 미리 토양개량을 실시하여 식재 전에 하자를 방지하는 것이 불필요한 비용 지출 및 손해를 줄일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방법일 것입니다.
수목을 식재하실 예정이라면 토양 진단도 얼마든지 의뢰 가능하시며 토양별 식재 가능 수종을 권장해드리거나 토양 개량에 대한 컨설팅을 제공해드리고 있으니 식재 토양에 관련 문제는 세이브트리를 찾아주시면 해결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블로그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링크 클릭 👉 [나무병원] 조경식재 건설현장 식재지 토양 진단 ㅣ 나무의사
수목/ 조경에 관한 모든 서비스는 공식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없이 1분 만에 접수 가능하시니 수목진단이 필요하실땐 꼭 찾아주시기 바랍니다!

수목, 조경관리에 관한 모든 문제는 세이브트리에서 상담 받아보세요!

기타 문의사항은 세이브트리 고객센터로 연락주세요!
[Tel] 1661-0660
[E-mail] cs@savetree.co.kr
[Home] www.savetreexp.co.kr
안녕하세요! 수목진단 전문기업 세이브트리입니다.
오늘은 수목진단이 아니지만 아주 중요한 진단의뢰를 맡게되어 소개드리게 되었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현장은 인천 영종도의 건설현장 조경 식재지 입니다!
바다가 인접해 있는 만큼 염해 예방에 각별히 신경써야 하기 때문에 수목 식재 전 하자 방지를 위해 토양의 염류(EC) 및 pH, 경도를 측정했습니다.
식재일정이 촉박한 관계로 조경공사 현장소장님과 감리 담당자 분이 동행하신 상태로 진단내용을 공유드렸습니다.
산중식 경도계로 측정한 결과 경도는 15~20mm 사이로 국토교통부 인증 '조경설계기준'상 상급에 해당하는 토양이었습니다.
국토교통부 승인 조경설계기준
토양 pH는 6.8~7.0 사이로 측정되었으며 조경설계기준 상 '중급'에 해당하는 수치입니다.

EC 교정중
토양 EC는 현장에서 간이 측정 시, 오차의 발생여지가 있어 샘플을 채집한 후 1:5 비율의 희석액을 만들어 EC미터를 통해 측정하였습니다.
측정 센서 세척
오차를 줄이기 위해 세척을 거친 후 샘플용액의 EC를 측정하였습니다.
EC미터를 통해 측정한 결과
식재지 샘플을 채집한 두 곳의 결과값은 각각 0.65 dS/m, 0.3dS/m 이었으며 각각 중급에 해당하는 수치를 나타내었습니다.
수목의 생육에 방해가 될 정도의 수치는 아니지만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식재용 토양을 별도로 성토한 뒤 식재하지만 모세관 현상으로 하층 토양의 수분이 상승하는 것과 배수성을 고려하면 식재기반 염류와 견밀도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더욱이 바닷가에 인접한 현장일수록 사전에 면밀히 점검하여 내염성이 강한 수목을 식재하거나 미리 토양개량을 실시하여 식재 전에 하자를 방지하는 것이 불필요한 비용 지출 및 손해를 줄일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방법일 것입니다.
수목을 식재하실 예정이라면 토양 진단도 얼마든지 의뢰 가능하시며 토양별 식재 가능 수종을 권장해드리거나 토양 개량에 대한 컨설팅을 제공해드리고 있으니 식재 토양에 관련 문제는 세이브트리를 찾아주시면 해결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블로그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링크 클릭 👉 [나무병원] 조경식재 건설현장 식재지 토양 진단 ㅣ 나무의사
수목/ 조경에 관한 모든 서비스는 공식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없이 1분 만에 접수 가능하시니 수목진단이 필요하실땐 꼭 찾아주시기 바랍니다!
수목, 조경관리에 관한 모든 문제는 세이브트리에서 상담 받아보세요!
기타 문의사항은 세이브트리 고객센터로 연락주세요!
[Tel] 1661-0660
[E-mail] cs@savetree.co.kr
[Home] www.savetreexp.co.kr